반응형 개발139 자바에서 모니터가 동작하는 원리 (with synchronized) 모니터란 모니터란 뮤텍스나 세마포어보다 더 고수준의 동기화 기법이다. 전공 수업에서는 세마포어를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 것이 모니터라고 배웠었다. 부족하지만 수업을 듣고 정리해 놓은 글이 있다. https://devdebin.tistory.com/16#%EC%84%B8%EB%A7%88%ED%8F%AC%EC%96%B4-1 임계 구역과 임계 구역 해결 방법 2021. 10. 2. 00:51 2022. 6. 22. 15:30 복습을 위한 수정 시작 프로세스는 독립적으로 작업을 할 수도 있고 공유된 자원을 가지고 공동 작업을 할 수도 있다고 이전 장에서 언급했다. 이번에는 본격적으로 devdebin.tistory.com 자바에서의 모니터 모든 자바 객체는 모니터를 가진다. 여러 스레드가 객체.. 개발/Java 2023. 12. 28. Java Thread (version 2) Java Thread 자바 스레드는 JVM에서 User Thread를 생성할 때 시스템 콜을 통해서 커널에서 생성된 커널 스레드와 1:1로 매핑이 되어 최종적으로 커널에서 관리된다. JVM에서 스레드를 생성할 때마다 커널에서 자바 스레드와 대응하는 커널 스레드를 생성한다. 자바에서는 플랫폼 스레드로 정의되어 있다. 즉 OS 플랫폼에 따라 JVM이 사용자 스레드를 매핑하게 된다. 스레드 생성은 Thread 클래스를 상속하는 방법과 Runnable 인터페이스(함수형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방법이 있다. Thread 실행 및 종료 자바 스레드는 OS 스케줄러에 의해 실행 순서가 결정되며 스레드 실행 시점을 JVM에서 제어할 수 없다. 새로운 스레드는 현재 스레드와 독립적으로 실행되고 최대 한번 시작할 수 있고.. 개발/Java 2023. 12. 14. equals()와 hashCode() 자바에서 모든 클래스는 Object 클래스를 부모 클래스로 가진다. Object 클래스에는 equals()와 hashCode()가 있다. 오늘은 이 둘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동등성과 동일성 동일성은 두 객체가 동일한 인스턴스임을 의미하며 == 연산자로 확인이 가능하다. 동등이란 두 객체가 동일한 상태나 값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equals 메서드로 확인할 수 있다. 동일성은 동등하다고 말할 수 있지만, 동등하다고해서 동일성을 가진다고 말할 수는 없다. equals() public boolean equals(Object obj) { return (this == obj); } equals()는 객체가 동등한지(논리적 동치성, 동등성)를 검사한다. 기본적으로 Object 클래스의 equals 메서드.. 개발/Java 2023. 12. 13. Java MetaSpace 오늘은 Java 8 버전에서 등장한 MetaSpace에 대해 알아보자. Permanent Generation 자바 7버전까지는 Permanent Generation이라는 영역이 존재했다. 줄여서 PermGen라고 부른다. PermGen은 로드되는 클래스, 메서드 등에 관한 정보 등 메타 데이터(리플렉션)를 저장한다. 모든 static 메서드, static 변수를 저장한다. Java 7 버전까지는 String Pool도 PermGen의 일부 바이트 코드, 이름, JIT 정보도 가지고 있다. 이 영역은 제한된 메모리가 큰 단점이다. 제한 된 메모리로 인해 Out Of Memory(OOM)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Permanent Generation은 Heap 영역인가? 위 사진만보면 PermGen은 Hea.. 개발/Java 2023. 12. 12. GC (Garbage Collection) 오늘은 GC에 대해 공부를 진행해보겠습니다. Stop The World stop-the-world는 GC를 실행하기 위해 JVM이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멈추는 것이다. stop-the-world가 발생하면 GC를 실행하는 스레드를 제외한 나머지 스레드는 모두 작업을 멈춘다. GC 작업을 완료하 이후에야 중단했던 작업을 다시 시작한다. 어떤 GC 알고리즘을 사용하더라도 stop-the-world는 발생한다. 대개의 GC 튜닝은 stop-the-world 시간을 줄이는 것이다. GC 자바에서는 개발자가 프로그램 코드로 메모리를 명시적으로 해제하지 않기 때문에 Garbage Collector가 더 이상 필요 없는 객체를 찾아 지우는 작업을 한다. 필요 없는 객체란 유효한 참조가 없어진 객체다. 즉 JNI 스택에.. 개발/Java 2023. 12. 11. 자바 메모리 누수 c언어는 free() 함수를 사용해 메모리를 해제한다. 자바는 GC가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힙 영역의 인스턴스 메모리를 알아서 해제해준다. 그렇다면 GC가 메모리를 해제해주므로 자바에서 메모리 누수는 아예 발생하지 않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자바에서도 메모리 누수는 발생할 수 있다. 객체가 실제로 사용되지 않으면서 의도치 않게 참조를 가지고 있다면, 이는 메모리 누수의 원인이 된다. 자바에서 메모리 누수는 프로그래머의 실수로 발생하는 것이다. 자바 메모리 누수와 관련해서 자주 발생하는 패턴을 살펴보기 전에 먼저 GC 대상에 대한 기초를 잡자. GC 대상 GC는 힙 내의 객체 중에서 가비지를 찾아내고, 찾아낸 가비지를 처리해서 힙의 메모리를 회수한다. 그럼 어떤 객체가 가비지일까?? Java GC는 객체.. 개발/Java 2023. 12. 9. Chunk Process Chunk Chunk란 여러 개의 아이템을 묶은 하나의 덩어리, 블록을 의미 한번에 하나씩 아이템을 입력 받아 Chunk 단위의 덩어리로 만든 후 Chunk 단위로 트랜잭션을 처리함, 즉 Chunk 단위의 Commit과 Rollback이 이루어짐 일반적으로 대용량 데이터를 한번에 처리하는 것이 아닌 청크 단위로 쪼개어서 더 이상 처리할 데이터가 없을 때까지 반복해서 입출력하는데 사용된다. Chunk는 ItemReader로 읽은 하나의 아이템을 Chunk에서 정한 개수만큼 반복해서 저장하는 타입 Chunk는 ItemReader로부터 전달받은 Chunk를 참조해서 ItemProcessor에서 적절하게 가공, 필터링한 다음 ItemWriter에 전달하는 타입 아키텍쳐 ChunkOrientedTasklet Ch.. 개발/Spring Batch 2023. 11. 10. FlowJob FlowJob Step을 순차적으로만 구성하는 것이 아닌 특정한 상태에 따라 흐름을 전환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FlowJobBuilder에 의해 생성된다. Flow와 Job의 흐름을 구성하는데만 관여하고 실제 비즈니스 로직은 Step에서 이루어진다. 내부적으로 SimpleFlow 객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Job 실행 시 호출한다. 사용해야하는 경우 Step이 실패하더라도 Job은 실패로 끝나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경우 Step이 성공했을 때 다음에 실행해야 할 Step을 구분해서 실행해야 하는 경우 특정 Step은 전혀 실행되지 않게 구성해야 하는 경우 조건적 흐름이 필요하면 FloJob, 순차적 흐름은 SimpleJob 활용 배치 상태 유형 BatchStatus JobExecution과 StepExecu.. 개발/Spring Batch 2023. 11. 7. 테스트 성능 개선 오늘은 프로젝트 테스트 성능을 개선한 이야기를 써보려고 합니다. 로컬에서 진행했으며, 컴퓨터 스펙은 M1 AIR(8코어) RAM 16GB SSD 512 입니다. 프로젝트 설명 간단하게 프로젝트 구조에 대해 설명하겠다. 멀티 모듈 프로젝트는 스프링 부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멀티 모듈로 구성돼 있다. api 모듈은 프레젠테이션 영역으로 인수 테스트와 컨트롤러 단위 테스트(Spring Rest Docs 생성)를 진행하고 있다. core 모듈은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며 핵심 도메인 모델 클래스로 구성되어 있다. 통합 테스트와 단위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두 모듈의 테스트 성능을 개선해보려고 한다. 통합 테스트 운영 코드와 동일한 테스트 코드를 가지기 위해 명시적 롤백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쉽게 말해 테스.. 개발/Test 2023. 11. 3. Executor와 TaskExecutor 이모저모 Java Executor Executor public interface Executor { void execute(Runnable command); } 제출된 Runnable 작업을 실행하는 객체이다. 태스크 제출과 각 태스크가 어떻게 실행될 것인지의 메커니즘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스레드 사용, 스케줄링 등의 세부 사항을 포함한다. Executor는 일반적으로 명시적으로 스레드를 생성하는 대신 사용된다. 보통 스레드 풀을 사용하는 구현체가 많다. Executor 인터페이스는 실행이 반드시 비동기라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Executor는 제출된 태스크를 즉시 호출자 스레드에서 실행할 수도 있다. Execuotr에서는 보통 태스크는 호출자의 스레드가 아닌 다른 스레드에서 실행된다. 많은 Ex.. 개발/Spring Core 2023. 10. 24. 스프링 배치 핵심 도메인 기초 Job 배치 계층 구조에서 가장 상위에 있는 개념으로 하나의 배치 작업 자체를 의미한다. 'A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B 데이터베이스로 옮기는 배치'는 Job 자체를 의미한다. JobConfiguration을 통해 생성되는 객체 단위, 배치 작업을 어떻게 구성하고 실행할 것인지 전체적으로 설정하고 명세해 놓은 객체 배치 Job을 구성하기 위한 최상위 인터페이스이며 스프링 배치가 기본 구현체를 제공한다. ex SimpleJob, FlowJob 여러 Step을 포함하고 있는 컨테이너로서 반드시 한 개 이상의 Step으로 구성해야 한다. JobInstance Job이 실행될 때 생성되는 Job의 논리적 실행 단위 객체로서 고유하게 식별 가능한 작업 실행을 나타낸다. Job의 설정과 구성은 동일하지만 Job이 .. 개발/Spring Batch 2023. 10. 21. 자바는 Call By Reference가 없다? 오늘은 스터디를 진행하면서 커뮤니티에서 본 자바의 Call By Reference에 대해 정리하려고 한다. 먼저 기본적인 Call by value와 Call by reference에 대해 짚고 넘어가자. Call by value 함수를 호출 할 때 단순히 값을 전달하는 형태의 함수 호출을 의미한다. Call by reference 메모리의 접근에 사용되는 주소 값을 전달하는 함수 호출을 의미한다. 자바는 Call By Reference가 없다? Java에서 primitive type 변수는 실제 값을 저장하는 반면 다른 모든 타입 변수는 참조하는 객체의 주소를 가리키는 참조 변수를 저장한다. 객체의 주소를 가리키는 참조 변수가 스택 메모리에 저장된다. 참조하는 객체는 힙 메모리에 저장된다. 총 2번의 과.. 개발/Java 2023. 8. 2. 이전 1 2 3 4 5 ···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