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pring19 Kotest 주의할 점 (with Spring) 오늘은 실무에서 Kotest와 스프링을 같이 사용하면서 당황한 부분을 정리하고, Kotest Isolation Modes에 대해 정리할 예정이다. Kotest Isolation Modes IsolationMode라는 Enum을 활용해 테스트 케이스 인스턴스를 어떻게 생성하는지 제어할 수 있다.IsolationMode Enum은 총 3가지 값이 있다. IsolationMode.SingleInstanceIsolationMode.InstancePerTestIsolationMode.InstancePerLeaf IsolationMode.SingleInstance 해당 Enum은 Spec(Fun Spec, Behavior Spec 등)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하나만 생성되고,모든 테스트 케이스가 차례대로 실행되며, 모.. 2025. 3. 21. 스프링 배치 개선하기 정리 스프링 배치 성능에 관한 아래 두 영상을 간략하게 정리한 글입니다. Batch Performance 극한으로 끌어올리기https://www.youtube.com/watch?v=2IIwQDIi3ys&t=589sSpring Batch 애플리케이션 성능 향상을 위한 주요 팁https://www.youtube.com/watch?v=VSwWHHkdQI4&t=1011s Batch Performance 극한으로 끌어올리기 영상 정리대량 데이터 READbatch 성능 개선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Reader를 개선하는 것이다.일반적으로 Read의 복잡한 조건으로 인해 Write보다 성능의 더 큰 영향을 받는다.읽을 때 항상 Chunk 프로세싱이다. 예를 들어 천 만개를 1000개씩 나누어 1만번 처리한다.JpaPagi.. 2024. 9. 10. @RequestBody 직렬화와 역직렬화 눈으로 확인하기 자바 스프링에서 @RequestBody 직렬화, 역직렬화에 대해 알아보겠다. Java에서 @RequestBody필자는 요청 바디에 json 객체를 담아 요청했다.따라서 헤더의 content-type은 application/json이다. @RequestBody를 사용하면 RequestResponseBodyMethodProcessor가 HTTP 요청을 우리가 정의한 자바 객체로 변환해준다. 그럼 어떻게 HTTP 요청을 자바 객체로 변환해주는지 살펴보자. 실습 코드는 아래와 같다.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PostMapping;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Body;import org.s.. 2024. 5. 30. Chunk Process Chunk Chunk란 여러 개의 아이템을 묶은 하나의 덩어리, 블록을 의미 한번에 하나씩 아이템을 입력 받아 Chunk 단위의 덩어리로 만든 후 Chunk 단위로 트랜잭션을 처리함, 즉 Chunk 단위의 Commit과 Rollback이 이루어짐 일반적으로 대용량 데이터를 한번에 처리하는 것이 아닌 청크 단위로 쪼개어서 더 이상 처리할 데이터가 없을 때까지 반복해서 입출력하는데 사용된다. Chunk는 ItemReader로 읽은 하나의 아이템을 Chunk에서 정한 개수만큼 반복해서 저장하는 타입 Chunk는 ItemReader로부터 전달받은 Chunk를 참조해서 ItemProcessor에서 적절하게 가공, 필터링한 다음 ItemWriter에 전달하는 타입 아키텍쳐 ChunkOrientedTasklet Ch.. 2023. 11. 10. FlowJob FlowJob Step을 순차적으로만 구성하는 것이 아닌 특정한 상태에 따라 흐름을 전환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FlowJobBuilder에 의해 생성된다. Flow와 Job의 흐름을 구성하는데만 관여하고 실제 비즈니스 로직은 Step에서 이루어진다. 내부적으로 SimpleFlow 객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Job 실행 시 호출한다. 사용해야하는 경우 Step이 실패하더라도 Job은 실패로 끝나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경우 Step이 성공했을 때 다음에 실행해야 할 Step을 구분해서 실행해야 하는 경우 특정 Step은 전혀 실행되지 않게 구성해야 하는 경우 조건적 흐름이 필요하면 FloJob, 순차적 흐름은 SimpleJob 활용 배치 상태 유형 BatchStatus JobExecution과 StepExecu.. 2023. 11. 7. Executor와 TaskExecutor 이모저모 Java Executor Executor public interface Executor { void execute(Runnable command); } 제출된 Runnable 작업을 실행하는 객체이다. 태스크 제출과 각 태스크가 어떻게 실행될 것인지의 메커니즘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스레드 사용, 스케줄링 등의 세부 사항을 포함한다. Executor는 일반적으로 명시적으로 스레드를 생성하는 대신 사용된다. 보통 스레드 풀을 사용하는 구현체가 많다. Executor 인터페이스는 실행이 반드시 비동기라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Executor는 제출된 태스크를 즉시 호출자 스레드에서 실행할 수도 있다. Execuotr에서는 보통 태스크는 호출자의 스레드가 아닌 다른 스레드에서 실행된다. 많은 Ex.. 2023. 10. 24.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