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50

가상 메모리 가상 메모리(논리메모리)는 물리 메모리에 디스크가 더해진 것이다. 가상 메모리가 디스크, 메모리에 모두 분산 할당을 진행한다. 이러면 메모리 공간이 엄청나게 커지는 이점이 있다. 이렇게 가상 메모리가 가능한 이유는 몇 가지가 있다. 우선 오류코드 루틴이다. 다음은 배열, 리스트, 테이블 중에서 일부만 사용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는 자주 사용되지 않는 문서 편집기의 기능이다. 위에는 예시다. 잠깐 쉽게 알아보자면 한 프로세스가 존재한다. 그 프로세스는 실행될 때 꼭 프로세스의 모든 부분이 메모리에 가서 실행되지 않는다. 파워포인트 같은 경우에는 기능이 엄청 많지만 우리는 늘 그 모든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다. 보통 자주 사용하는 기능만 사용한다. 이처럼 프로세스는 모든 기능을 메모리에 올리지 않고 필요하고.. 2021. 11. 19.
분산 메모리 할당 - 세그먼트 기법, 페이지화된 세그먼트 기법 페이징 기법을 이용해 분산 메모리 할당을 진행해도 여전히 내부 단편화 문제가 존재한다. 이를 막기 위해 다른 기법이 고안되었다. 바로 세그먼트 기법이다. 먼저 세그먼트란 무엇인가? 세그먼트란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모듈 프로그램이다. 세그먼트는 단위 크기가 변하지만 페이징은 고정크기이다. 세그먼트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메모리가 페이지 프레임으로 나누어지지 않고 동적분할(가변분할)기법으로 메모리를 할당한다. 즉 세그먼트는 가변크기이고 페이지는 고정 크기다. 세그먼트는 즉 크기가 달라 length의 개념이 필요하다. 페이지 기법과 마찬가지로 세그먼트 기법도 매핑 테이블을 사용하는데 이걸 세그먼트 매핑 테이블이라고 한다. 세그먼트 주소매핑 예이다. 논리 주소는 우선 세그먼트 테이블의 세그먼트 번호와 변.. 2021. 11. 19.
분산 메모리 할당 - 페이징 앞에서는 연속 메모리 할당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분산 메모리 할당이다. 고정 분할의 내부 단편화 문제를 가변 분할로 해결했다. 그러나 가변 분할에서 외부 단편화 문제가 발생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분산 메모리 할당이 등장했다. 분산 메모리 할당은 한 프로세스의 메모리 할당 시 이 프로세스를 나누어서 분산적으로 메모리에 할당하는 것이다. 분산 메모리 할당의 종류는 페이징 기법, 세그먼트 기법, 페이지화된 세그먼트 기법이 있다. 먼저 2가지 단어 페이지와 프레임에 대해 알아야 한다. 페이지의 뜻 부터 알아보자. 페이지는 프로세스를 일정 크기의 블록으로 나눈 단위이다. 프레임은 메로리를 고정 크기 블록으로 나누는 단위이다. 페이징을 진행한다면 프로세스를 나눈 크기만큼 메모리도 똑같은 크기로 나누어.. 2021. 11. 18.
보안과 권한 관리 2022. 12. 14. 00:30 수정 및 복습 시작 데이터베이스 보안 데이터베이스 보안의 목표는 조직에서 허가한 사용자만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통제하여 보안을 유지하는 것이다. 물리적 환경에 대한 보안, 권한 관리를 통한 보안, 운영 관리를 통한 보안이 필요하다. 물리적 환경에 대한 보안은 말 그대로 자연재해 같은 데이터베이스에 물리적 손실을 발생시키는 위험으로부터 데이터베이스를 보호하는 것이다. 딱히 중요한 내용은 아니다. 권한 관리를 통한 보안은 접근이 허락된 사용자만 권한 내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도록 보호한다. 계정이 발급된 사용자만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통제하고, 사용자별로 사용 범위와 수행 가능한 작업 내용을 제한한다. 운영 관리를 통한 보안은 접근이 허락된 사용자가.. 2021. 11. 15.
2021-11-12 passport Strategy에 대해 코드를 작성했다. 가능하면 내일 로그인 파트를 구현! 로그인하는 local Strategy, JWT를 받고 이후 API 접근 권한을 확인하는 jwt Strategy를 작성 먼저 passport가 어디서 토큰을 가져온다던지, 어떤 필드에서 변수를 가져올지 설정하고 이후에 로직 작성 내일은 시간이 많이 없으니 부디 빠르게 오류 없이 구현 가능하길.. https://github.com/happysubin/prisma_-_passport/commit/1688e8cac7dfd4a8b96f6befbe2d2a9ed1911130 passport Strategy 작성 · happysubin/prisma_-_passport@1688e8c Permalink This commit doe.. 2021. 11. 13.
2021-11-11 Password를 만드는 함수를 구현. 노드 내부 모듈 crypto를 이용! 애초에 prisma를 사용. salt와 hash화 된 패스워드를 DB에 저장. 작성한 함수는 salt를 생성하는 랜덤 함수와 hash 패스워드를 구현하는 함수와 그 hash 패스워드를 체크하는 함수 개인적으로 Promise 구문을 복습할 수 있어서 의미가 있었다. crypto.pbkdf2 와 crypto.randomBytes 사용법 알아두기. https://github.com/happysubin/prisma_-_passport/commit/8933941a528ec06ed4587c2a98c6753337b515bf make password part · happysubin/prisma_-_passport@8933941 Permalin.. 2021. 11.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