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junit52 Junit5 구조와 아키텍처 (with Junit이 main 없이 동작하는 이유) 개발 환경: IntelliJ 2024.3.1.1(Ultimate), JDK 21, Gradle 8.13 IntelliJ IDEA 환경과 Gradle 환경에서 Junit 살펴보기 오늘은 개발자들이 Junit을 사용하면서 스쳐지나갔을 main 함수가 없는데 Junit이 동작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인텔리제이에서 Build And Run 설정을 IntelliJ IDEA로 설정했다. 그리고 간단한 테스트 코드를 바로 프로파일링을 해보았다. 그럼 com.intellij.rt.junit.JunitStarter.main 메서드가 제일 먼저 실행된다. 이번에는 Build And Run 설정을 Gradle로 설정했다. 이제 다시 프로파일링을 진행해보자. 우선 제일 먼저 호출되는 코드는 Gr.. 개발 2025. 4. 5. 테스트 성능 개선 오늘은 프로젝트 테스트 성능을 개선한 이야기를 써보려고 합니다. 로컬에서 진행했으며, 컴퓨터 스펙은 M1 AIR(8코어) RAM 16GB SSD 512 입니다. 프로젝트 설명 간단하게 프로젝트 구조에 대해 설명하겠다. 멀티 모듈 프로젝트는 스프링 부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멀티 모듈로 구성돼 있다. api 모듈은 프레젠테이션 영역으로 인수 테스트와 컨트롤러 단위 테스트(Spring Rest Docs 생성)를 진행하고 있다. core 모듈은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며 핵심 도메인 모델 클래스로 구성되어 있다. 통합 테스트와 단위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두 모듈의 테스트 성능을 개선해보려고 한다. 통합 테스트 운영 코드와 동일한 테스트 코드를 가지기 위해 명시적 롤백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쉽게 말해 테스.. 개발/Test 2023. 11. 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