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junit2 Junit5 구조와 아키텍처 (with Junit이 main 없이 동작하는 이유) 개발 환경: IntelliJ 2024.3.1.1(Ultimate), JDK 21, Gradle 8.13 IntelliJ IDEA 환경과 Gradle 환경에서 Junit 살펴보기 오늘은 개발자들이 Junit을 사용하면서 스쳐지나갔을 main 함수가 없는데 Junit이 동작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인텔리제이에서 Build And Run 설정을 IntelliJ IDEA로 설정했다. 그리고 간단한 테스트 코드를 바로 프로파일링을 해보았다. 그럼 com.intellij.rt.junit.JunitStarter.main 메서드가 제일 먼저 실행된다. 이번에는 Build And Run 설정을 Gradle로 설정했다. 이제 다시 프로파일링을 진행해보자. 우선 제일 먼저 호출되는 코드는 Gr.. 개발 2025. 4. 5. 토비의 스프링 Vol.1 2장 테스트 2장은 테스트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실습은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happysubin/book-study/commit/d31fcf6587d719e39cb28e62abc7ff7634b7c179 Feat: 토비의 스프링 2장 학습 마무리 · happysubin/book-study@d31fcf6 Show file tree Showing 4 changed files with 127 additions and 33 deletions. github.com 스프링이 제공하는 가장 중요한 가치는 객체지향과 테스트다. 이번 2장에서는 스프링이 제공하는 가장 중요한 가치 중 하나인 테스트에 대해 살펴본다. 애플리케이션은 요구사항이 들어오면서 변하고 복잡해진다. 테스트 코드를 잘 작성.. 독서/토비의 스프링 2023. 2. 1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