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loud front1 전시 도메인 캐싱에 대한 잡다한 생각들 이번 포스팅에서는 화면 레이아웃, 팝업, 배너, 카테고리와 같은 전시 도메인, 전시 영역에 대한 캐싱을 적용하면서 본인이 생각한 중요한 포인트 및 자잘한 생각들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프로젝트(이커머스)를 코프링으로 진행했으므로 아마 스프링과 JVM 관점에서 설명하는 내용이 존재할 것이다.인프라는 AWS이며, 데이터베이스로는 SQL(Oracle)과 Redis를 사용 중이다. 캐싱 적용 이유 및 놓친 부분 캐싱 적용은 6개월 또는 분기마다 트래픽이 높아지는 이벤트가 있는데 이에 도움이 되고자 진행한 작업이다.사실 이커머스에서 유저가 몰릴 때 부하가 제일 많이 생기는 곳은 상품 도메인이다.그래도 팀에서 전시 도메인 특징 상 자주 수정이 되지 않고 조회는 많으므로 캐싱 적용이 알맞고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 개발 2025. 2. 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