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ntity2

Spring Bean으로 등록된 EntityManager 자바 동적 프록시 기술을 알고 읽으시는 게 좋습니다!!! JPA를 처음에 배우면 엔티티 매니저는 여러 스레드가 동시에 접근하므로 스레드 간 공유하면 절대 안된다고 학습한다. 그러나 스프링 부트 애플리케이션을 돌려보면 처음에 엔티티 매니저가 스프링 빈으로 등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스프링 부트 자동 구성을 통해 엔티티 매니저가 스프링 빈으로 등록, 즉 싱글톤으로 사용이 되는 거 같아' 위와 같은 의문점이 들었고, 이에 관련해서 구글에 찾아보기 시작했다. 결론을 말하면 스프링 빈으로 등록되는 것은 엔티티 매니저 가짜 객체고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로직이 수행될 때 진짜 엔티티 매니저가 사용된다는 것이다. 이러면 쓰레드 세이프하다고 말할 수 있다. 단순히 그렇구나 하고 넘어간 것을 오늘은 눈으로 확인해보.. 2023. 5. 12.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 정리 스프링 부트와 JPA 강의 1편, 2편을 본지 거의 1년이 되어가는 상황이다. 남은 방학을 불태우자는 생각으로 복습을 진행했는데, 이번 기회에 한 번 글로 잘 정리해두려고 한다. 스프링 부트와 JPA 1편과 2편에서 느낀점과 중요한 부분을 남겨보겠다.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EB%B6%80%ED%8A%B8-JPA-%ED%99%9C%EC%9A%A9-1/dashboard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 인프런 | 강의 실무에 가까운 예제로, 스프링 부트와 JPA를 활용해서 웹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개발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스프링 부트와 JPA를 실무에서 어떻게.. 2023. 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