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5GHz Wi-Fi가 보이지 않아요

Debin 2025. 10. 10.
반응형

결혼 및 독립을 하면서 데스크탑도 새로 사고 인터넷도 새로 설치했다.

데스크탑 세팅을 하면서 와이파이 스캔을 하면 우리집 5GHz 와이파이가 안보이는 문제가 있었다.

해결 과정과 상황을 정리해보려고한다.

 

문제 상황 요약

 

  • 5GHz Wi-Fi가 잡혀야 하는데 PC에서 우리집 공유기의 2.4GHZ만 보이고, 5GHz는 안보임
  • 다른 5GHz 와이파이는 가끔씩 보임 → 5GHz 자체는 감지 가능
  • 메인보드에 무선 LAN 카드가 없으므로 Realtek 8812BU 무선 랜카드 사용

 

이제 문제의 원인을 찾아보자.

 

1단계: 5GHz Wi-Fi 자체가 안 보임

 

다른 5GHz 와이파이는 보이고,

8812BU 무선 랜카드도 5GHz를 지원한다고 나와있지만 한 번 눈으로 확인해봤다.

 

netsh wlan show drivers

 

지원되는 주파수 형식은 802.11n 802.11g 802.11b 802.11ac 802.11n 802.11a 이다.

802.11ac, 802.11a, 802.11n 가 존재하므로 5GHz는 사용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지원되는 대역 수도 아래 사진과 같이 나온다.

 

지원되는 대역 수

 

개념 정리:

 

  • 802.11 표준은 Wi-Fi(무선 LAN, Local Area Network)의 통신 규격을 정의한 국제적인 표준
  • 802.11n: 2.4GHz와 5GHz 대역 모두를 지원하며,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을 도입하여 최대 600Mbps의 속도를 지원
  • 802.11g: 2.4GHz 대역을 사용하며 802.11b보다 더 빠른 최대 54Mbps의 속도를 제공
  • 802.11b: 최초의 Wi-Fi 표준 중 하나로, 2.4GHz 대역을 사용하며 최대 11Mbps의 속도를 지원
  • 802.11ac: 5GHz 전용으로, 더 넓은 대역폭과 더 많은 채널을 지원하여 매우 빠른 속도(최대 1Gbps 이상)를 제공하며, 주로 최신 기기에서 사용
  • 802.11a: 5GHz 대역을 사용하고, 최대 54Mbps의 속도를 지원하지만, 802.11b와는 호환되지 않는다.

 

✅ 2단계: 공유기와 랜 카드 암호화 방식 확인

 

구글링을 하다보니 공유기와 랜 카드의 암호화 방식이 다르면 서로 통신하지 못할 수 있다는 글을 발견했다.

먼저 공유기에 접속해서 확인해보니 5GHz 와이파이의 암호화 방식은 WPA2-PSK 였다.

8812BU 무선 랜카드도 WPA2-PSK 방식을 지원하므로 해당 내용은 문제가 아니라고 판단했다.

 

간단한 암호화 방식 보안 수준 설명 :

 

WEP 낮음 오래된 보안 방식, 취약점이 많음
WPA 중간 WEP의 보안 문제를 해결했지만 여전히 취약함, TKIP 사용 (매번 키 변경)
WPA2 높음 AES 암호화 방식 사용, 현재 가장 보편적이고 안전한 방식
WPA3 매우 높음 더 강력한 인증과 암호화를 제공, 최신 보안 표준

 

 

✅ 3단계: 공유기의 채널 확인

 

본격적으로 GPT와 협력을 시작했다.

우리집 공유기에 대한 내용을 얘기하면서  UNII 대역에 대해 알려줬다.

 

UNII 대역 (Unlicensed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 무선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중 하나, 주로 WIFI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기술에서 사용되는 대역
  • 면허가 필요 없는 주파수 대역으로, 누구나 사용 가능하다. -> 공용 주파수 대역
  • 크게 4개로 나누어져있고, 주로 5GHz에서 사용 가능하다.

 

아래는 GPT가 알려준 내용이다.

 

 

  • UNII-1 (5.15 ~ 5.25 GHz)
    • 주로 채널 36~48번
    • 이 대역은 대부분의 Wi-Fi 기기들이 사용할 수 있으며, 짧은 거리에서 신호 전송을 위한 용도로 적합합니다.
    • 보통 실내에서 사용하는 데 유용한 대역

 

  • UNII-2 (5.25 ~ 5.35 GHz)
    • 주로 채널 52~64번
    • 이 대역은 조금 더 넓은 범위의 신호를 지원하고, 고속 데이터 전송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
    • **DFS(동적 주파수 선택)**가 적용돼, 기상 레이더와 같은 중요한 시스템과 간섭을 피하기 위해 일부 채널에서의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 UNII-2 Extended (5.47 ~ 5.725 GHz)
    • 주로 채널 100~140번
    • 이 대역도 DFS가 적용돼 있어 기상 레이더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 이 대역은 더 긴 범위와 더 많은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지만, 외부 간섭의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 UNII-3 (5.725 ~ 5.85 GHz)
    • 주로 채널 149~165번에 해당합니다.
    • DFS가 적용되지 않는 대역으로,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고, 장거리에서 유리한 성능을 보인다.
    • 상대적으로 덜 사용되지만, 넓은 대역폭을 지원해 고속 인터넷이 필요한 환경에 적합하다.

 

개념 정리:

 

  • Wi-Fi 채널
    • 채널이란 주파수 대역을 나눈 세부적인 구간을 의미
    • 5GHz는 채널 36 (5180 MHz)부터 채널 165 (58320 MHz) 까지를 지원
    • 채널은 대역폭과 간섭에 영향을 줌

 

  • DFS (Dynamic Frequency Selection)
    • UNII-2와 UNII-2 Extended 대역에서는 DFS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 이 규정은 기상 레이더나 항공 시스템 등 중요한 통신 시스템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Wi-Fi 장치가 자동으로 채널을 변경하도록 요구한다.
    • 즉, 이 대역에서 Wi-Fi 기기를 사용할 때는 특정 조건에서 자동으로 채널을 변경해야 할 수 있다.

 

우리집 공유기 5GHz 채널은 153번으로 설정되어 있었다.

 

✅ 4단계: Realtek 8812BU 무선 어댑터의 호환성 문제

 

위 내용을 말하면서 자연스럽게 GPT가 아래와 같은 내용을 언급했다.

 

  • Realtek 8812BU 칩셋은 일부 채널(특히 UNII-3 채널)에서 SSID를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 이유가 부실하지만 아래와 같이 설명해주었다.
    • 드라이버나 펌웨어가 국가 규제 채널 맵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음
    • DFS 회피나 채널 제한 기능이 하드코딩되어 있는 경우도 있음

 

위와 같은 이유를 언급하면서 UNII-1 대역으로 공유기 채널은 변경할 것을 추천해줬다.

 

✅ 5단계: 공유기 채널을 44번으로 변경 → 문제 해결

 

호다닥 들어가서 5GHz 채널을 44번으로 바꿔주었다.

 

공유기 채널 변경

 

그랬더니 드디어!!! 데스크탑에 우리집 공유기 5GHz가 보인다...

연결했더니 와이파이만으로 250Mbps가 나온다 !

 

5GHz 와이파이 연결 성공

 

🎯 마무리

 
8812BU 무선 랜카드의 와이파이 채널 호환 문제였다. 변경하니 너무 잘 동작한다.
GPT 딸깍인 것 같지만, 이렇게 기록으로 남기면서 공부하면 그거 자체로 의미가 있는거 아닐까 라는 생각(정신 승리)을 해본다.

 

2025.09.06일에 결혼식을 치르면서 이것저것 하느라 블로그 글은 너무 오랜만이다. 다시 열심히해보자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