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제품이 WOL을 지원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컴퓨터가 부팅 시작하는 도중에 BIOS창으로 넘어가서 이를 확인하면 된다.
또는 컴퓨터 설명서나 제품 판매 페이지에서 확인!!!
제품이 WOL 기능을 지원한다면 공유기에서 Wake On LAN(WOL) 설정을 해야한다.
필자는 LG U+ 공유기인데 WOL을 지원해서 WOL 기능을 적용할 컴퓨터의 맥 주소를 기입했다.
이후에는 아래 툴들을 설치
sudo apt-get install net-tools ethtool wakeonlan
이후 ifconfig를 통해 우리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할 수 있다.
사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확인한 후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한다. 필자의 경우는 enp3s0
sudo ethtool -s enp3s0 wol g
//이 명령어는 특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enp3s0)에 대한 Wake-on-LAN (WOL) 기능을 활성화
- -s enp3s0: enp3s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설정을 변경하겠다는 의미
- wol g: WOL 기능을 g 모드(마법 패킷 모드)로 설정. 이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특정 패킷을 수신할 때 시스템을 깨우도록 한다.
그리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 wol 설정을 확인한다.
sudo ethtool enp3s0
Wake-on: g 설정을 확인한다.
여기에서 문제가 있는데 현재 우리가 ethool에 설정한 내용은 컴퓨터를 껐다 키면 초기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초기화를 막기 위해 /etc/systemd/system/wol.service에 다음 내용을 추가한다.
vi /etc/systemd/system/wol.service
[Unit]
Description=Configure Wake-up on LAN
[Service]
Type=oneshot
ExecStart=/sbin/ethtool -s 인터페이스명 wol g
[Install]
WantedBy=basic.target
그리고 이를 실행한다. 아래 명령을 수행하면 된다.
systemd 데몬을 다시 로드하여 새로 작성된 서비스 파일을 인식하게 한다.
sudo systemctl daemon-reload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서비스를 활성화
systemctl enable /etc/systemd/system/wol.service
enable이 되면 wol이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필자는 공유기 화면에서 Wake On LAN을 눌러서 확인했다.
그러나 사실.. 필자가 WOL을 시작한 것은 앱과 연동해보고 싶기 때문이다.
일단 아래 앱을 설치한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uk.mrwebb.wakeonlan&hl=ko&gl=US&pli=1
휘황 찬란하게 사용하고 싶지만 일단 같은 와이파이에 연결만 하면 세부적인 설정은 자동으로 채워진다.
WOL을 적용한 컴퓨터의 맥 주소와 ip만 잘 매칭하면 된다..!!!
앱으로도 해당 기능이 잘 동작하는 것을 확인했다. 꽤 재밌었다!
추후에 같은 와이파이가 아닌 경우를 추가해봐야지..
후기
본인은 본가에서 LG 공유기를 사용하는데 LG 공유기는 외부 네트워크에서 앱으로 WOL이 불가능하다고 한다.
대신 공유기 웹을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게 허용하고 공유기 웹에서 WOL을 실행해야 한다고 한다..!!!
댓글